어머니의 유산

판매개시일
2023/06/07
태그
미즈무라미나에
장편소설
일본
2023
표지
https://image.aladin.co.kr/product/31801/69/cover200/k482833313_1.jpg
oopy
지은이│미즈무라 미나에
옮긴이│송태욱
발행일│2023년 6월7일
ISBN│ 979-11-91114-45-4 03860
판형│128*188mm (무선)
쪽수│540쪽
정가│18,000원

어머니가 죽는다. 그 어머니가 죽는다. 드디어 죽는다.”

남다른 여성 삼대의 아주 특별한 이야기
현대 일본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작가 중 하나로 손꼽히는 미즈무라 미나에의 장편소설 『어머니의 유산』이 출간되었다. 어머니가 사망한 날, 실버타운에서 얼마를 돌려받을 수 있는지 따져보는 자매의 통화로 시작하는 이 소설은, 신문 연재 당시 모녀관계와 나이듦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로 수많은 독자의 공감과 감동을 이끌어냈다. 제39회 오사라기 지로상 수상작이기도 하다.

너는 우리 세대의 신데렐라야.”

어머니가 남긴 뜻밖의 유산으로 삶을 구하다
현실을 소설처럼 살고자 했던 외할머니, 서구의 귀족 문화를 동경하며 저 높은 곳으로 날아오르기를 열망했던 엄마. 그런 엄마의 욕망대로 유학을 떠났다가 유부남과의 연애가 발각되어 강제 귀국을 당했으나 당당하기만 한 언니.
가쓰라가의 여성은 남다르다. 평생 ‘뭐라 말할 수 없는 꿈’을 꾸며 살아간다. 아름다운 것에 집착하고 고상하고 향기로운 세계를 부나방처럼 좇는다. 분수도, 만족도 모른다. 도리나 사회적 규범이 그들의 욕망을 막을 수 없다.
미쓰키는 그들과 다르다고 생각했다. 스스로 이성적 판단에 따라 선택한 인생이라고 믿었다.
미쓰키는 불행할 권리가 없다고도 생각했다. 좋은 환경에서 자라나 파리 유학도 다녀오고 대학에서 강의를 하고 있는데다가 교수인 남편과 부자 언니, 팔십대에도 여전히 화려하게 살 수 있는 엄마가 있으니까.
하지만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뭔가 잘못되었다는 느낌이 끈적한 실처럼 온몸을 친친 감아온다. “손가락 사이로 인생을 주르르 내버리고 있”는 기분이지만 차분히 성찰할 여유도 없다. 병원에 홀로 내팽개진 채 쓸쓸히 숨을 거둔 아버지에 이어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 같은 엄마의 병간호도 도맡고 있기 때문이다.
엄마가 골절로 병원에 실려간 날에 남편의 불륜까지 발견하지만 그 문제를 숙고할 시간조차 없다. 당장 닥친 엄마 일이 우선이다. 엄마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 그리고 나서, 그런 다음에…..
드디어 ‘기적처럼’ 엄마의 죽음이 찾아오고 미쓰키는 해방되었다는 흥분이 온몸을 관통하는 것을 느낀다. 그리고 장례식 이후 떠난 여행지에서 외할머니-엄마-자신으로 이어지는 운명의 비밀을 깨닫게 되는데……

독창적 스토리텔링과 서늘한 문장으로 운명을 지배하는 숨은 힘을 찾아나선다

첨단의 글쓰기로 문제작을 선보이며 발표하는 소설 모두 문학상을 수상한 미즈무라 미나에가 ‘죽어가는 엄마를 간병하는 위기의 딸’이라는 설정의 장편소설을 발표했을 때 뻔한 전개로 흘러가리라 예상한 이는 아무도 없었을 것이다. 과연 작가는 근대 가장 유명한 신파소설을 배음으로 깔고 일체의 감상주의를 걷어낸 ‘가족 서사’를 펼쳐보인다. 가차 없는 시선은 엄마와 남편뿐 아니라 주인공의 내면을 향할 때에도 예외가 없다. 삶의 근원적 슬픔에 닿아 있으면서도 노화, 이혼, 죽음, 그리고 그 모든 것의 바탕을 이루는 금전적 문제를 꼿꼿이 직시하는 서술에는 위엄마저 서려 있다.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흥미로울 소설은 뒤로 갈수록 결이 달라지며 독자들을 전혀 새로운 곳으로 끌고 간다. 그동안 이야기 위의 이야기, 이야기 바깥의 이야기를 써온 미즈무라 미나에의 야심은 『마담 보바리』와 『이방인』 그리고 우리에게 ‘이수일과 심순애’로 알려진 신파소설 『금색야차』를 연결하면서 여성 삼대를 지배해온 ‘이야기’의 정체를 깊숙이 파고드는 데에서 선명히 드러난다.
역자인 송태욱은 미즈무라 미나에의 소설을 “근대 일본문학사라는 캔버스 위에 그려진 그림”과 같다고 말한다. 나쓰메 소세키의 미완성작 『명암』을 이어서 다시 썼던 데뷔작 『속 명암』이나 에밀리 브론테의 『폭풍의 언덕』을 새로 쓴 『본격소설』처럼 『어머니의 유산』 역시 문학사의 정전(들)을 이어서 또는 새로 쓰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작품 표면에는 물론 어머니의 간병과 죽음을 둘러싼 여성 삼대의 이야기가 펼쳐지지만, 서사적 심층에는 서구의 고전들, 예컨대 『마담 보바리』 『이방인』 『적과 흑』 등의 소설과 오페라 <라보엠> 같은 이야기들이 번역 또는 번안을 통해 근대 이후 동아시아인들의 내면을 형성하는 과정이 자연스럽게 녹아 있다. 이런 점이야말로 미즈무라 미나에의 독특한 소설적 세계이자 작법이라 할 수 있다. 『어머니의 유산』은 지금 여기, 우리 모두가 필연적으로 맞닥뜨릴 수밖에 없는 현실과 작가 특유의 작법이 만나 겹겹이 풍요로운 눈부신 작품이 되었다.

. 책 속에서

딸은 그저 어머니에게서 자유로워지고 싶은 것이 아니다. 늙음의 끔찍함을 가까이서 직접 보는 고통—앞으로의 자기 모습을 코앞에서 보는 정신적인 고통에서도 자유로워지고 싶은 게 아닐까. 젊을 때는 추상적으로밖에 알지 못했던 ‘늙음’이 두뇌와 전신을 덮칠 뿐만 아니라 후각, 시각, 청각, 미각, 촉각 모두를 덮치는 것이 또렷하게 보인다. 그것을 향해 살아갈 뿐인 인생인 것인가._491
너무 오랫동안 어머니의 죽음을 기다렸기 때문에 어머니의 죽음은 이제 이 세상에서 일어날 수 없는 기적 같다는 생각이 들었고, 결국 그날이 왔다는 현실감이 없었다. _478
어머니라는 존재—체념을 모르고 호시탐탐 틈을 노려 뭔가에 감동하고 살아 있다는 증거를 계속해서 찾고 싶어하는 어머니의 모습은 얼마나 역겨웠던가. 늙음은 잔혹해서 정신이 하늘 높이 비상하고 피가 끓어오르기를 아무리 원해도 감동을 생명의 원천으로 담을 수 있는 잔 자체는 해마다 얕아진다. 어머니가 인생에서 계속 감동을 찾는 모습은 결국 늘 굶주림과 갈증에 괴로워하는 아귀도에 떨어진 망자 같은 양상을 띠었다. 어쩌면 색에 빠지는 일이 불가능해진 인간이 다시 한번 쾌락의 찰나를 좇아 더욱 격렬하게 색을 찾는 것과 비슷했다. _490쪽
“그건 여자의 꿈 이야기야. 너는 신데렐라야, 우리 세대의.”
“이게 신데렐라 이야기라고?”
“그렇지.”
“백마 탄 왕자도 없이?”
“그게 특별한 점이지. 오십대에 어머니만이 아니라 남편까지 없어지고, 금화가 지천인 큰 부자니까. 다른 여자가 들으면 화날 거야.” _530
거기서 사라지는 것은 한 남자의 그림자만이 아니었다. 사라지는 것은 하나의 정신이기도 했다. 그것은 미쓰키의 정신을 가두는 정신이었다. _501
“내 돈이 생긴 것도 기쁘지만 무엇보다 오십대에 그 사람한테서 해방되었다는 게 기뻐. 오십대에 해방이라니, 그런 터무니없는 행운은 생각하지 않으려고, 애써 생각하지 않으려고 애쓰면서 살아왔거든.”
“정말 그렇겠다.”
“게다가 그 사람을 보고 있으면 장수만은 하고 싶지 않다는 생각만 강해지고, 어쩐지 살아 있다는 느낌이 들지 않았으니까.”
“그건 나도 그래.”
어머니에게 휘둘리는 사이에 살아갈 욕망이 눈에 띄게 시들어갔다._17쪽
앞으로 자기 인생은 이런 일의 반복이 되는 게 아닐까 하는 예감, 어렸을 때는 뒷전으로 밀려나고 방치되어 자랐는데도 앞으로는 자기 어깨에 친정인 가쓰라가의 성가신 일이 덮쳐오지 않을까 하는 예감에 사로잡히지 않을 수 없었다. _183
파리의 그 다락방에서 촛불이 깜박깜박 흔들리는 가운데 침통한 표정을 짓고 있던 데쓰오. 그 데쓰오에게 미쓰키는 경박하게도 얼마나 큰 것을 투영하고 말았던가. <라 보엠>의 로돌포만이 아니다. 『적과 흑』의 쥘리앵 소렐도, 『폭풍의 언덕』의 히스클리프도. 아마 『금색야차』의 간이치도. 무일푼이지만 하늘의 별에 손을 뻗고, 세속을 벗어난 야심을 품고, 또한 한 여자를 열렬히 사랑하는 남자들. 소녀 시절부터 소파나 침대에서 나뒹굴며 천장을 향해 눕기도 하고 몸을 구부리고 옆으로 누워 센베이를 먹으며 되풀이해서 읽은 소설에 등장하는 남자들. 어찌 그들의 모습을 경박하게도 데쓰오에게 투영하고 혼자 들떠버렸던 것일까. _361
어머니 집의 장이나 서랍에서 흘러나온 분에 넘치는 사치의 잔해는 1970년대에 개축해서 모르타르로 마무리한 일본의 집에—필경 꿈도 아무것도 없는 시시한 공간에 일종의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냈다. 농담이 뒤섞인 색이 눈을 자극하고 나프탈렌 냄새를 뚫고 향수나 비단 특유의 냄새가 코를 자극한다. 꿈 없는 공간에 꿈의 잔해가 농후하게 깃들어 있었다. _87

추천의 말

신문 연재 당시부터 커다란 전율과 감동을 선사한 이 소설은 엄마의 죽음 이후 자신의 삶을 돌아보기 시작하는 한 여성을 경탄할 만큼 감상주의가 제거된 필치로 그려낸다. 주인공은 독립성과 행복할 권리, 즉 재산이 아니라 자아에 대한 인식이야말로 어머니의 유산이었음을 비로소 믿게 된다._오프라 매거진
엄마와 딸 사이의 복잡하고 불안한 관계에 대한 매우 감동적인 탐구. 미즈무라는 예리한 관찰력으로 인물들의 표면 아래 꿈틀거리는 혼란과 분노를 한 겹 한 겹 드러낸다. 모두에게 와닿는, 훌륭하게 쓰인 소설._카리 루나(작가)
엄마와의 복잡한 유대에 관한 필독서. 개인적 체험에 바탕한 눈부신 소설._워싱턴 포스트
작가는 옛것과 새것을 절묘하게 섞어 근대 가장 유명한 통속소설에서 화려함을 죄책감으로, 로맨스를 현실적 이야기로 바꾸며 아주 재미있는 역작을 창조해냈다._월스트리트 저널
미즈무라 미나에는 가족 내 역학과 육체적 쇠퇴를 사실적으로 관찰하면서, 이 두 가지 모두 한 치의 감상도 허용하지 않는 시선으로 해부한다…중년의 시련을 지성과 공감으로 묘사한다…미즈무라는 어떻게 한 작가가 자기 뿌리의 언어로 세계적 보편성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 보여주는 매혹적인 본보기이다._뉴욕 리뷰오브북스
주인공 미쓰키의 이야기는, 정체성의 역설과 불안한 타협을 여전히 생각해야 하는 일본 중산층의 심리적 혼란으로 놀랍게 확장된다._뉴욕 타임스
가족사와 그것이 관계와 전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득력 있는 탐구._퍼블리셔스 위클리

■ 차례

제1부
1.
경야의 긴 전화 11
2.
꽃밭 같은 티슈 케이스 19
3.
이동식 변기 29
4.
사케를 홀짝이는 남편 36
5.
마침내 파는 집 43
6.
녹아내린 전두엽 51
7.
‘오미야 씨의 피’ 58
8.
살아 있는 망령들 65
9.
마른 들판에 앉아 있는 어머니 74
10.
향기로운 꿈의 잔해 81
11.
여자와의 G메일 89
12.
체리 열매 97
13.
빈털터리 105
14.
‘요코하마’의 레슨 111
15.
고지대에 있는 집 120
16.
호적등본 128
17.
고맙습니다의 ‘고’ 136
18.
하늘이 바뀌어 145
19.
기적의 도시 153
20.
다락방에서의 고백 161
21.
자매의 명암 169
22.
가쓰라가의 붕괴 177
23.
다소 부족한 남자 184
24.
인생의 계절 192
25.
정중한 사례 201
26.
목숨이 달린 생선회 209
27.
저칼로리 수액 217
28.
연기된 임종 224
29.
묘석 밑의 백골 232
30.
잠 못 드는 밤 240
31.
엄마가 싫어? 247
32.
꿈은 마른 들판을 255
33.
장례식장의 메뉴 262
제2부
1.
로맨스카 273
2.
어둠에 잠기는 호수 281
3.
‘쓰레기’ 289
4.
세세한 숫자 296
5.
‘우연’한 만남 304
6.
장기 체류객의 저녁 모임 312
7.
드라마틱 320
8.
사랑받지 못했다 327
9.
72.3제곱미터 335
10.
좀 괜찮은 이야기 342
11.
데쓰오의 불장난 348
12.
텔레비전과 신의 눈 356
13.
부부용 밥공기 364
14.
이렇게나 멀리 372
15.
『금색야차』 381
16.
‘바보 같으니라고’ 390
17.
외할아버지의 등 397
18.
슬라이드 쇼 405
19.
모두 수상하다 413
20.
“아빠, 엄마 좋아?” 421
21.
가루타 놀이 429
22.
두 가지 가능성 439
23.
가난인가 남편인가 446
24.
별이 쏟아지는 밤 455
25.
아타미 해변 462
26.
소설도 안 된다 470
27.
폭우의 밤 480
28.
해저의 빛 488
29.
루비콘강을 건너다 497
30.
하룻밤 지나고 505
31.
구름 위에서 현실로 513
32.
긴자에서의 ‘세설’ 520
33.
벚꽃이 핀 날 529

저자 소개

지은이 : 미즈무라 미나에
미즈무라 미나에는 현대 일본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작가중 하나로 손꼽히는 세계적으로 이름난 소설가이자 비평가이다. 대담한 실험정신과 빼어난 스토리텔링으로 첨단의 글쓰기를 선보여왔다. 1951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나 열두 살 되던 해 미국으로 가 예일대학 불문과 박사과정을 수료한 후 프린스턴대학에서 객원 조교수로 일본 근대문학을 강의했다. 1998년 스탠포드대학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작품으로는 요미우리 문학상 수상작인 『본격소설』을 비롯하여 나쓰메 소세키의 미완성 소설을 이어쓴 야심찬 프로젝트 『속 명암』, 그밖에 『사소설 from left right』 등이 있다.
옮긴이 : 송태욱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도쿄외국어대학 연구원을 지냈고, 현재 연세대학교에서 강의하며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마쓰이에 마사시의 『우리는 모두 집으로 돌아간다』 미야모토 테루의 『환상의 빛』 『금수』 시오노 나나미의 『십자군 이야기』를 비롯해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도련님』 『마음』 등 나쓰메 소세키 전집을 우리말로 옮겼으며, 지은 책으로 『르네상스인 김승옥』(공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