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제 | The Wolf Road
분야 | 해외소설
판형 | 128*188mm (무선)
쪽수 | 472쪽
가격 | 18,500원
발행일 | 2024년 11월 1일
ISBN | 979-11-91114-66-9 (03840)
◆ 가디언, 타임스, 파이낸셜 타임스 2020 최고의 책
◆ 말 핏 상 수상작, 요토 카네기 상 후보
환상과 현실을 넘나드는 시적 스릴러
슬픔과 사랑과 용기와 야생에 대한 경이로운 탐구
사랑하는 사람을 잃고도 이전과 다름없이 살아가는 일이 가능할까? 소중한 이를 떠나보낸 적이 있다면 알 것이다. 단 하루도 결코 이전과 같을 수 없음을. 한 사람이 사라졌을 뿐인데, 세계가 통째로 뒤집힌다. 복구할 수 없을 정도로 산산조각난 일상, 너무 가혹해서 진짜라고는 차마 믿기 힘든 현실. 세상은 어제와 똑같이 굴러가는데 내가 알던 세상은 끝장난 심정. 영국 시인 리처드 램버트가 쓴 첫 소설 『내가 알던 세상의 끝』은 바로 이 ‘끝’으로부터 시작하는 이야기다. 갑작스러운 사고로 한순간에 가족을 모두 잃은 열다섯 살 소년 루커스가 세상이 무너지는 듯한 감각에 휩싸인 채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는 과정을 담았다. 가눌 길 없는 슬픔과 운명에 대한 분노를 안고 세상을 향해 발걸음을 내디디는 모습이 섬세하면서도 간결한 시적 문장 아래 펼쳐진다. 인적 드문 숲속에서 죽음의 그림자와 쫓고 쫓기는 싸움을 하는 한편, 스스로가 실은 죽음을 불러오는 존재는 아니었을지 혼란에 빠지기도 하는 루커스의 내면을 따라가며 처음부터 끝까지 예측할 수 없는 전개를 펼쳐 보이는 몰입감 강한 시적 스릴러로, 2020년 출간된 해 가디언, 타임스, 파이낸셜 타임스 최고의 책으로 선정되었다.
상실에 대한 이야기이자 눈을 뗄 수 없는 스릴러이기도 하다. 환상을 슬쩍슬쩍 넘나들며 슬픔을 사실적으로 파고든다. 소설은 마치 늑대처럼 현실과 환상 사이를 오간다. 리처드 램버트는 시인의 눈으로 마법 같은 작품을 완성해냈다. _조너선 스트라우드(작가)
평화로운 삶을 찢는 슬픔의 굉음
창밖에 어른거리는 죽음의 사신
토요일의 평범한 가족 외출, 루커스는 부모님과 함께 차를 타고 가던 중 사고를 당한다. 요동치는 차 안에서 내동댕이쳐지고 떠밀렸다가 다시 들어올려진 뒤 찾아온 완전한 적막. 고요 속에서 루커스는 차 바로 앞 길 한가운데 서 있는 짐승을 본다. 늑대처럼 보이는 그 짐승을 피하려다 사고가 난 것이다. 무겁고 깊은 잠에 빠져들었다가 깨어나자, 엄마와 아빠는 보이지 않고 살면서 고작 두 번 본 게 다인 할머니가 말한다. “네 부모님은 죽었어.”
하루아침에 혼자가 된 루커스는 원래 살던 집을 떠나 외딴 고원지대에 자리한 할머니의 시골집에서 지내게 된다. 이제 학교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이야기할 엄마도, 새와 나무의 이름을 자상하게 알려줄 아빠도 없다. 냉기가 감도는 집에는 무뚝뚝한 할머니와 루커스, 두 사람뿐이다. 엄마와 아빠가 삶을 멈춘 세상, 모든 것이 정지된 것만 같은데 지금 이 순간에도 변함없이 시간이 흐른다는 사실이 루커스는 이해되지 않는다.
초침이 원을 그리며 움직였고, 그게 그렇게 계속 움직인다는 사실이 당황스럽게 느껴졌다. 어떻게 그럴 수가 있을까, 엄마와 아빠는 삶을 멈추었는데, 그냥 그렇게 멈추어버렸는데. _17~18쪽
다른 사람은 몰라도 루커스는 도저히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계속 평범한 삶을 살아갈 수 없다. 게다가 어찌된 일인지 엄마와 아빠를 죽음으로 몰고 간 그 짐승, 늑대의 그림자가 할머니 집 창가에 어른거린다. 늑대가 루커스를 쫓아온 걸까?
나는 그 언덕들에 늑대가 있다고, 늑대가 산에서 기어내려와 나를 따라 여기까지 와서 이제 어둠 속에 서서 나를 지켜보고 있다고 느꼈다. 그것은 무언가를 원하고 있었다. 나를 죽이는 것? 엄마와 아빠에 이어 나까지 죽여 한 가족을 몰살시키는 것? _226쪽
숲들을 지나, 강들을 건너
“모든 것의 저편으로. 모든 인간의 저편으로. 야생으로.”
할머니 집이 자리한 잉글랜드 북부 컴브리아주 레이크 디스트릭트는 눈 덮인 산과 얼어붙은 호수, 굽이진 언덕이 이어지는 고원지대와 골짜기로 이루어져 있다. 날카로운 바람이 불어오는 한겨울의 강추위, 묵직하게 내려앉은 어둠 속 헐벗은 나무들과 차가운 언덕의 형상은 루커스의 마음을 어루만져주기는커녕 한층 더 황량하고 쓸쓸하게 만든다. 부모님의 죽음으로 루커스의 세상은 은유적으로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달라진다. 낯선 동네, 할머니와 함께하는 생활, 새로운 학교, 처음 보는 친구들과 선생님…… 루커스는 이제 이 모든 것에 홀로 적응해나가야 한다.
나는 혼자 멀리 떨어져 있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나 없이 모든 게 저 먼 아래에서 흘러가는 걸 지켜보는 듯한 기분이. _172쪽
부모가 죽던 순간, 그 참혹한 장면을 목격한 루커스는 이전처럼 친구들과 평범한 이야기를 나누며 웃고 장난칠 수 없다. 숲속에 사는 늑대는 야생의 상징이자 죽음을 불러오는 사신이다. 루커스의 정신은 손에 잡힐 듯 잡히지 않고 죽이지 않으면 기어코 자신을 죽이고 말 것만 같은 이 무자비한 포식자에게 온통 집중되어 있다.
또래와 어울리지 못하고 심각한 트라우마와 정신적 상처로 방황하던 루커스는 자신처럼 친구가 없고 늘 혼자 다니는 데브스와 우연히 말을 튼다. 대화 상대라고는 데면데면한 할머니와 무뚝뚝한 데브스가 전부지만, 이들과 함께하며 서서히 누구에게나 살면서 감당해야 할 각자의 고통이 있음을 이해하게 된다. 인간 생의 불가피한 과정이라 할 죽음의 본질까지도.
늑대를 추격하느라 산과 숲을 헤매고 다니던 그는 어느 날, 사람들이 늑대를 사냥하러 나서자 다시 한번 숲으로 향한다. 이번에는 늑대를 죽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늑대를 지키기 위해서.
나는 녀석이 안전하기를 바랐다. 살아남기를 바랐다. 이 세상에는 늑대가 필요하다. _456쪽
칠흑 같은 어둠을 건너 마침내 마주한 빛
암전된 세상에 새어드는 부드러운 빛줄기
가까운 이의 죽음이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상실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타인과 나누기 어렵고 오롯이 홀로 감당해야 하는 슬픔이다. 딸을 잃은 할머니의 슬픔과 엄마를 잃은 루커스의 슬픔이 제각기 고유하듯이. 그러니 그 슬픔을 받아들이고 대처해나가는 방식 또한 저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
리처드 램버트는 날것 그대로의 거친 슬픔을 오랫동안 전해내려온 늑대에 대한 신화와 엮어 바라봄으로써, 신비롭고도 환상적인 이야기를 완성해냈다. 한 존재를 집어삼키는 어마어마한 슬픔 앞에서 쉽게 애도하지 않고, 조심스러운 위로와 함께 연대의 가능성을 열어 보인다. 끔찍한 비극과 함께 시작된 긴 밤을 통과한 루커스는 저멀리 서서히 밝아오는 새벽빛을 바라보며 마침내 한 발 내디딘다. 죽음이 아니라 삶 쪽으로. 그러니까 끝으로부터 시작으로.
어떤 엔딩은 어떤 시작으로 향하는 길을 뚫는다. 엔딩이 없었다면 애초에 있지도 않았을 새로운 시작의 길을. _황유원(시인, 옮긴이)
■ 추천사
상실에 대한 이야기이자 눈을 뗄 수 없는 스릴러이기도 하다. 환상을 슬쩍슬쩍 넘나들며 슬픔을 사실적으로 파고든다. 소설은 마치 늑대처럼 현실과 환상 사이를 오간다. 리처드 램버트는 시인의 눈으로 마법 같은 작품을 완성해냈다. 루커스의 집 위쪽 산속에서 그림자를 드리우고 선 짐승처럼 담대하고 강건하며 물러설 줄 모른다. _조너선 스트라우드(작가)
객관의 세계과 주관의 세계, 평범함과 기이함을 넘나드는 솜씨가 능수능란하다. 이 데뷔작은 충격적인 시작부터 잊을 수 없는 결말까지 흔들리지 않는 탄탄한 균형을 유지한다.
_파이낸셜 타임스
매혹적인 데뷔작. 기억해야 할 새로운 목소리의 등장. _선데이 타임스
지켜봐야 할 작가. 수상 경력이 눈에 띄는 시인답게 함축적이면서도 일격을 가하는 힘있는 언어가 돋보인다. _가디언
사랑과 죽음, 그리고 야생이 우리를 어떻게 구원하는지를 보여주는 경이롭고 특별한 데뷔작.
_첼시 플러드(작가)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상실, 고통, 성장 그리고 모험에 관한 강렬한 이야기.
_미셸 로버츠(작가)
영화처럼 선명하게 그려지는, 감동적이면서 맹렬한 소설. _앤드루 카원(소설가)
슬픔, 상실, 성장을 다룬 서정적인 데뷔작. _북셀러
슬픔과 사랑과 용기와 야생에 대한 놀라운 탐구. _힐러리 매케이(작가)
결말에 다다를 때까지 시종일관 추측하게 만드는 서늘한 페이지 터너. _헤일리 롱(작가)
■ 책 속에서
그 개는 길 한가운데 있었다. 녀석은 연기 색깔, 혹은 세상에서 빛이 빠져나가 밤이 되기 직전의 황혼 같은 색깔이었는데, 눈만은 오렌지빛이 감도는 갈색이었고 작은 눈동자는 검은색이었다. 시선은 똑바로 나를 향하고 있었지만 나를 제대로 쳐다보는 것 같지는 않았다. 곧 전투에 나서는 군인이 쳐다볼 법한 눈빛으로 나를 보았다. 녀석은 아주 고요히 서 있었다. 발은 권투선수의 주먹만했고 다리는 길었다. 넓은 가슴과 커다란 갈기를 지니고 있었고 어깨는 앙상했다. _12쪽
나는 무엇을 해야 할지 알 수 없었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은 것처럼 계속 평범한 삶을 살아갈 수는 없었다. _24쪽
나는 어둠이 그렇게 가까이 다가올 수 있다는 것을 몰랐다. 얼굴 앞까지 와서 우리를 만질 수 있다는 것을. 관자놀이를 짓누를 수 있다는 것을. 입을 틀어막을 수 있다는 것을. _88쪽
죽으면 몸에서 나는 모든 소리를 잃게 된다. 모든 것을 잃게 된다. 잠처럼 당연하게 생각하던 것들조차도. _92쪽
늑대가 사냥감을 선택하는 순간 무언가 이상한 일이 벌어진다―사냥감은 자신이 선택되었다는 사실을 감지한다. 만일 사냥감이 갑자기 달아나면 바로 그때 늑대가 공격한다. 만일 사냥감이 침착함을 유지하며 그 자리에 그대로 있으면 늑대는 때로 그냥 물러나기도 한다. _127쪽
바깥의 나무 사이에서 늑대가 지켜보며 기다리고 있는 게 느껴졌다. 늑대는 지켜보며 기다리고 있었다. _209쪽
그 순간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정확히 알았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 확신했다. 나는 울부짖었다. 나는 고통과 피와 죽음의 울음을 울부짖었다. _216쪽
온 세상에 생기가 가득했다. 쓸모없고 정지된 나를 제외하고는. _260쪽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늑대가 이 세계와 영혼의 세계 사이를 오갈 수 있다고 믿는다. 은하수는 최초의 늑대가 내려온 ‘늑대의 길’이며, 인간이 그 최초의 늑대를 죽였을 때 죽음이 이 세상에 들어왔다고 믿는다. _368쪽
빠르고 무자비한 포식. 그 순간 나는 늑대가 어떤 존재인지를 보았다. 늑대는 죽인다. 녀석이 하는 일은 그것뿐이다. 녀석은 생명을 죽인다. _378쪽
나는 죽음을 불러온다. 내가 곧 죽음이다. _384쪽
사랑―그 난해한 영역, 늘 우리 등뒤에 있는. _455쪽
■ 차례
1부
2부
옮긴이의 말|어둠 속을 걸어다니기